문) 하천 제방의 경로별 누수 원인을 기술하고 붕괴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라.
서술형 문제의 경우 변별력 있는 답안 작성이
고득점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답안을 잘쓰는것과, 문제를 잘골라 쓰는것으로 나뉠수 있을 겁니다.
하천 문제의 경우 제출빈도도 적지만
경험을 한 기술자 수 또한 적기 때문에
몇명이나 이문제에 대한 답안을 쓸지에 대해 생각하면
남들이 안쓰는 문제를 선택해서 답안을 작성한다면
이또한 채점자 눈에는 변별력 있는 답안으로 여겨져
고득점 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라 확신합니다.
비슷한 분야로는 댐이나, 항만 분야라고 생각됩니다....
남들이 쓰지 않은 답안을 쓰는거... 한번 고려해보세요~!!
Ⅰ. 개요
1. 우리나라의 하천은 감조하천으로 경사가 심하고, 유량 변동계수가 크다. 또한 지역별 강우 특성으로 인해 제방붕괴 우려가 크다.
2. 하천제방의 붕괴 원인에는 누수, 월류, 세굴, 사면 붕괴, 침하 등이 있으며, 차수벽 설치, 피복토 등을 설치하여 붕괴를 방지하여야 한다.
Ⅱ. 하천 제방의 종류
그림 참고
Ⅲ. 우리나라의 하천과 강우 특성
1. 하천특성(하천 경사 심함, 유량 변동계수 크다, 감조하천)
2. 강우특성(강우강도 및 강수량 증가, 남부: 집중호우, 중부: 누적 강우 크다.→ 홍수방어 능력 취약, 제방붕괴 우려)
Ⅳ. 하천제방의 경로별 누수 원인 분석
1. 제체의 누수
- 설계적 요인: 단면, 사면경사, 차수시설
- 재료적 요인: 입도불량, 사질토, 침식성 토사 함유
- 시공적요인: 다짐불량(특히 구조물 접합부)
- 유지관리적 요인: 동물에 의한 구멍, 배수불량
2. 지반의 누수
- 내적: 파쇄대, 수용성 물질, 동물 이동 통로
- 외적: 수위 상승, 액상화
Ⅴ. 하천 제방 붕괴 원인 및 검토 프로그램
누수, 월류, 세굴, 사면붕괴, 침하(각종 프로그램과 모식도)
Ⅵ. 하천제방의 누수방지 대책
1. 누수차단
- 사면측 차단: 비탈면 비복, Blanket 설치
- 중심측 차단: 차수벽 설치(시트파일, 점토 코어)
2. 누수 처리 대책
-침윤선 낮춤: 제방 폭 크기
-침투수 관리(배제, 저감)
Ⅶ. 하천 제방 붕괴 방지 위한 시공관리 방안
1. 제방 시공전: 기초지방 처리 대책
- 연약층 얕은 경우: 치환
- 연약층 중간: virtical drain
2. 축조중
- 입도관리: 재료 최대치수 150mm 이하
- 다짐관리: 층다짐 실시, 습윤측 다짐
Ⅷ. 하천제방 안정을 위한 Risk 관리
- Risk analisys,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Ⅸ. 하천 제방의 방제 능력 향상 위한 제언
1. 구내의 하천의 관리 주체는 국가가 10%,
지자체가 90%를 관리하고 있다.
2. 따라서 예산 부족으로 인한 수해 및 재난이
되풀이 되고 있다.
3. 일본 등 선진국의 사례와 같이 국가 주도의
하처관리를 통해 수해 및 재난의 발생을 예방하여야 한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