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 강교 가조립의 목적 및 시공순서를 기술하고 가설공법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답)

Ⅰ. 개요

1. 강교의 가조립 목적은 각 부재의 치수 검사, camber관리 거치 시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여 조치 하는데 있으며,

2. 교량의 가설공법에는 지지형식에 따라 상부, 하부 자체지지, 지지하지 않는 공법으로 구분되며 운반방법에 따라 crane, winch, 압출로 분류된다.

3. 강교 가설시 정확한 측량을 통한 허용오차 이내 시공이 필요함

 

Ⅱ. 강교의 가설공법의 분류

1. 지지방법

 - 벤트식 공법(상부지지)

 - 가설거더 공법(하부지지)

 - 밀어내기 공법, cantilever(자체 지지)

 - 대블럭 공법(지지 필요 없음)

2. 운반 방업

 - 자주 크래인

 - 케이블 크레인

 - 플로팅 크레인

 - 트레블러 크레인

 

Ⅲ. 강교 가설공법 선정시 고려 사항

- 지반조건, 시공조건, 구조물 조건, 환경 조건, 경제성 고려 후 공법 결정

Ⅳ. 강교 가조립의 목적 및 시공 관리

 1. 목적: 치수검사, camber 조정, 거치시 문제점 파악

 2. 원칙: 1경간 이상, 제품은 무응력 상태

 3. 유의사항

 - 각 부재가 무응력 상태 되도록 유지

 - block 고정 정도 유지 위한 ground marking

 - steel tape 사용시 장력 측정

 - 현장 이음/연결부는 볼트 구멍 30% 이상 조임

 - 일출/일몰 30분 전 검사 실시

 

Ⅴ. 00교 강교(Steel Box Girder교) 가조립 순서

 1. 장소: 현대제철 대산 공장

 2. 순서: Ground marking → 가조립 Surport setting → Box girder 배열 및 setting → Cross Beam과 stringer 조립 → Splice Bolt 체결 및 Stud Bolt 시공 → sole plate 시공 및 검사 → 육안, 비파괴 검사

Ⅵ. 강교 가설공업의 특징

 1. Bent 식 공법

 - 가설조건: 가설 지점까지 크레인 차량 진입 가능, 거더 아래 벤트 설치 가능한 경우, 작업부 상부에 전선 등 지장물 없을 경우

 - 특성: 가설구조물이 적음, 크레인 기동성에 따라 공기 짧음, 거더 하부가 수면일 경우 잔교 or 우회 적용

 2. 플로팅 크레인 공법

 - 가설조건: 적당한 수심에 흐름 약한곳, 플로팅 크레인 진입 가능

- 특성: 공기 짧고 높은 장소 작업가능, 가설응력, 처짐 조사 후 보강

3. 압출 공법

 - 가설조건: 거더 하부공간, 사용 불가시, 가설 인접 장소에서 조립 가능한 경우

 - 특성: 비교적 단기간 소요

 

Ⅶ. 강교 가설시 유의사항

1. 안전관리

 - 추락, 낙하 등 재해 대책

 - 가설통로 난간 수직방호망 등 안전설비 설치

2. 품질관리

 - 정밀도 및 접합부 강도 확보

 - 허용오차 기준 이내 관리

3. 환경관리

 - 소음 및 진동에 대한 대책

 - 도작 작업시 비산 대책

 - 중량물 운반시 교통 통제

 4. 시공관리

 - 장비: 중장비 하부 지지력 확보

 - 운반: 운반거리 시간 경제성 고려

 - 설치: 계측 통한 설치 오차 최소.  "끝"

※ 답안 작성에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