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 잔골재율

답)

Ⅰ. 잔골재율의 정의

 5mm 체를 기준으로 통과한 부분을 잔골재로 보고 전체 골재량에 대한 절대 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허용범위내에서 낮게 해야 함

 

Ⅱ. 잔골재율의 산정식

 1. 질량비(S/A) = [S /(S+G)] × 100(%)

 2. 용적비(S/a) = [(S/Gs)/(S/Gs+G/Gg)] × 100(%)

※ 잔골재율(S/a) 확보방안

 - 흡수율 관리: 재생골재 미사용

 - 마모율 관리: 선정 및 시험

 - 골재의 보관: 분진망, 세척, 이물질 제거

 

Ⅲ. 잔골재율이 콘크리트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1. 과다시: 골재 표면적 증가 - W/B증가 - Bleeding, 수화열 증가 - 내구성 감소

 2. 과소시: Workability 감소 - 표면 마무리 불량 - 결함 및 열화 - 내구성 감소

 

Ⅳ. 잔골재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재료: 혼화재료, 골재 입도

 - 배합: 공기량, 시멘트량

 - 시공: Pump 성능, 압출 거리

 - 유동화 con'c : slump 증가량

 

Ⅴ. 잔골재율 결정시 주의사항

 1. 공극률 낮은 골재사용

 2. w/b를 활용한 고내구화 설계

 3. 허용범위내 S/a 낮게 결정 - 단윗량 감소 - Bleeding 감소.  "끝"

 

※ 답안 작성에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부탁드려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